맑음
SEOUUL
JAYANGDONG
17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서치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회원가입
로그인
전체 메뉴
전체 메뉴
요산풍수학회
풍수에세이
논문전문
음택현장기록
학술회원
요산학회원
학회뉴스
요산풍수학회
풍수에세이
논문전문
음택현장기록
학술회원
요산학회원
학회뉴스
전체 기사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요산풍수학회
학술회원
학회뉴스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로그인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서치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Home
요산풍수학회
요산풍수학회
요산풍수학회 전체
풍수에세이
논문전문
음택현장기록
다음
이전
풍수에세이
풍수지리터 소개
수도 서울은 600년 이상 유지되어 오는 명당의 터이다.경복궁(청와대)의 배산 백악산을 중심으로 좌우로 뻗은 용과 가지로 나가는 용의 형세를 정리해 보았다. [참조] 양택, 음택 명당자리인 사신사도
한국학회
2021.09.25 16:10
음택현장기록
KCC그룹 고 정상영 회장 음택 현장
현대가의 8남매 중 6남 정주영의 막냇동생으로 다른 형제들처럼 해외유학을 가라고 하였으나 23세에 그 돈으로 창업 하겠다고 하여,1958년 8월 (23세) 금강스레트공업 창업 1974년 고려화학 도료사업 1989년 KCC 건설사업 2000년 금강고려화학(주) 사명을 KCC로 변경 건자재와 실리콘, 첨단소재 등 글로벌 첨단
한국학회
2021.08.20 16:35
음택현장기록
현대자동차그룹 고 이정화 여사(정몽구 회장 부인) 음택 현장
2009년 10월 10일, 경기도 하남시 창우동 선영에 영면에 들다.
한국학회
2021.08.20 16:28
음택현장기록
현대그룹 고 정세영 회장 음택 현장
한국 자동차 산업의 신화꿈과 희망을 남긴 영원한 선구자 “포니 鄭” 현대가의 8남매 중 4남으로 가장 한국적이면서 세계적이었던 자랑스러운 기업인 정세영 회장은 지난 32년 동안 자동차 회사를 경영하면서 “정도경영(正道經營)”의 원칙을 실천할 때 우리 사회와 국가는 정신적인 선진국, 문화 선진국민이 될 것이다“ 기업인은 긍
한국학회
2021.08.20 16:21
음택현장기록
현대그룹 고 변중석 여사(고 정주명 명예회장 부인) 음택 현장
2007년 8월 21일, 선영인 경기도 하남시 창우동 고 정주영 명예회장 곁에 영면에 드시다.
한국학회
2021.08.20 16:17
음택현장기록
현대그룹 고 정몽헌 회장 음택 현장
고 정주영 회장의 8남 3녀 중 5남으로 햇볕정책이 현대아산 정몽헌 회장을 55세의 나이에 죽음의 벼랑으로 몰았다.2003년 8월 5일, 경기도 하남시 창우동 선영에 영면에 들다.
한국학회
2021.08.20 16:03
음택현장기록
현대그룹 고 정주영 명예회장 음택 현장
“하면된다.”는 돌파경영으로 한국의 60년 기업의 60년 산업화로 경제신화를 이룬 불굴의 도전정신과 잠재력만으로 세계 속의 한국으로 선진국 대열에 도약하게 했던 위대한 기업인으로 경제대통령 칭호까지 받은 현대창업주 아산(峨山) 정주영 회장은 부친 정봉식과 모친 한성실의 8남매(6남 2녀) 중 장남으로“이봐 해 보기는 해
한국학회
2021.08.20 15:54
논문전문
[심재열 ] 회암사의 풍수지리적 분석 결론
회암사는 충숙왕 15년(1328)에 인도에서 원나라를 거쳐 고려에 들어온 지공화상이 인도의 아라난타사를 본떠서 창건한 266칸 규모의 큰 사찰이었다.회암사에 반영된 풍수적 특징을 풍수이론의 용・혈・사・수의 4대 구분에 따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용(龍)은 현무봉과 주룡이 혈처를 배역한 용의 뒷면에 해당한다. 둘째
한국학회
2020.10.03 12:07
논문전문
[심재열 ] 통도사의 풍수지리적 분석 결론
통도사는 신라 선덕여왕 15년(646)에 자장(慈藏) 율사에 의해 창건되었다.자장 율사가 당에서 유학할 당시 선종(禪宗)은 사원 택지법을 중심으로 풍수참을 받아들였고, 강서지방에서는 강서지법으로 대표되는 형세풍수가 유행하고 있었다. 신라 말 선종이 유입되고 풍수사상이 전래된 시기에 당에서 유학한 자장 율사의 풍수관을 기반
한국학회
2020.10.03 12:03
요산풍수학회
[심재열 ] 사찰입지의 풍수지리적 분석 - 회암사 (4)
4. 수세에 의한 분석 [水]금낭경(錦囊經) 「기감편(氣感篇)」에서는 “풍수의 법은 득수(得水)가 먼저이고 장풍(藏風)은 그 다음”이라 하였다. 풍수(風水), 곧 물과 바람이라는 용어에도 나타나듯이, 혈(穴)은 용과 물 두 기운이 융결(融結)하여 이루어지므로 지세에 반드시 물이 있어야만 명당이 이루어진다. 산수를 인체에
한국학회
2020.10.03 11:59
논문전문
[심재열 ] 사찰입지의 풍수지리적 분석 - 회암사 (3)
2. 혈장에 의한 분석 [穴]만물(萬物) 중 가장 귀한 것이 내 몸이요, 산(山)의 제일이 혈판(穴板)이다. 혈은 곧 생기(生氣)를 만들어 내는 공간이다. 풍수지리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세(地勢)를 분석해서 명당(明堂)과 혈(穴)의 위치를 찾아내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혈(穴)을 찾자면 주산의 위엄을 살피고, 내룡(來龍)의
한국학회
2020.10.03 11:56
논문전문
[심재열 ] 사찰입지의 풍수지리적 분석 - 회암사 (2)
1. 주산과 용세의 분석 [龍]천보산은 칠봉산(506.1m)・회암령・석문령・어야고개・축석고개・탁고개를 거쳐 천보산(336.8m)에 이르는 천보산맥의 한 자락을 차지한다. 천보산의 높은 암벽산이 뻗어 내려 개장과 천심의 조화를 거듭하며 남쪽으로 계곡을 이룬 곳에 용맥을 내려 주산(후현무)이 자리 잡고 있다. 명당은 산의 앞
한국학회
2020.10.03 11:53
논문전문
[심재열 ] 사찰입지의 풍수지리적 분석 - 회암사 (1)
1. 회암사의 연혁과 개관우리나라의 산은 모두 백두산을 조종으로 한다. 백두산의 주맥은 백두대간을 타고 곳곳에 지기를 전달한다. 특히 한북정맥의 주맥은 추가령(599m)에서 서남으로 갈라져 백암산(1,110m)・양쌍령(686m)・적근산(1,073m)・대성산(1,175m)・수피령(780m)・광덕산(1,046m)・백운산(90
한국학회
2020.10.03 11:47
논문전문
[심재열 ] 사찰입지의 풍수지리적 분석 - 통도사 (6)
4. 수세에 의한 분석 [水]풍수에서 물은 음양론의 관점에서 논하는데, 물은 움직임이 있어 양이라 하고, 산은 움직임이 없어 음이라 한다. 이러한 음과 양은 서로 조화를 이루어 새로운 생명을 탄생시킨다. 통도사의 물로는 전면을 흐르는 물길과, 적멸보궁과 영산전의 우측에 자리한 연못이 있다. 특히, 적멸보궁 우측에 자리한
한국학회
2020.10.02 16:29
논문전문
[심재열 ] 사찰입지의 풍수지리적 분석 - 통도사 (5)
3. 사격과 형국에 의한 분석 [砂]산의 앞면이 광채가 나며 정돈되어 있고 수려하여 지면이 균일하고 안정적이어서 보기에도 좋은 앞면(面) 그곳에서 주로 명당(明堂)이 형성(形成)된다. 용의 뒷면(背)은 낭떠러지로 지면이 안정되지 못하고, 지맥도 없으며, 험준하고 추하여 땅 색도 음산하고 어두워 무정(無情)하게 보이는 곳이
한국학회
2020.10.02 16:27
논문전문
[심재열 ] 사찰입지의 풍수지리적 분석 - 통도사 (4)
2. 혈장에 의한 분석 [穴]풍수는 불교사찰의 입지 및 사찰 터 선정의 방법, 불교문화의 내용과 사찰의 사회적 기능에도 영향을 크게 미쳤다. 특히, 성불(成佛)은 불교적 가르침의 궁극적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깨달음을 이루려면 시절과 터와 사람 인연, 즉 천시・지리・인사가 합일되어야 한다. 이를 풍수에서는 혈이라
한국학회
2020.10.02 16:24
논문전문
[심재열 ] 사찰입지의 풍수지리적 분석 - 통도사 (3)
통도사에 대한 풍수지리적 분석은 용(龍)・혈(穴)・사(砂)・수(水)를 분석하는 것이다. 용(龍)은 산맥의 장엄한 영기와 변화하는 생기의 흐름을, 혈(穴)은 생기가 모이고 멈춰 결응되어 있는 곳을, 사(砂)는 혈을 중심으로 전후좌우에 있는 사신사에 의한 보국의 정밀을, 수(水)는 혈 앞에 흐르는 물의 득파(得波)와 역수(逆
한국학회
2020.10.02 16:22
논문전문
[심재열 ] 사찰입지의 풍수지리적 분석 - 통도사 (2)
2. 창건 배경과 성격가. 자장 율사에 의해 창건된 통도사 통도사(通度寺)는 불보종찰(佛寶宗刹)로서 대한불교 조계종 15교구 본사이다. 통도사는 신라 선덕여왕 15년(646)에 자장(慈藏) 율사(律師)에 의해 창건되었다. 통도사는 부처님의 진신사리 중 정골(頂骨)과 지절(指節), 치아 사리 외에 직접 입었던 금란가사(金襴
한국학회
2020.10.02 16:19
1
|
2
|
3
내용
내용